[오늘의 행복] 행복은 가랑비에 옷이 젖는 것 ☔️

행복한 사람들은 일상 곳곳에 자신만의 행복 스위치를 켜두고 소소한 즐거움들을 더 자주 경험해요. 당신만의 행복 스위치를 ON! 해 보세요. 가랑비에 옷이 젖는 것처럼 행복도 그렇게 될 테니까요 ☔️
[오늘의 행복] 행복은 가랑비에 옷이 젖는 것 ☔️

🏅질문! 금메달 하나는 은메달 몇 개에 해당할까요?

한 실험에서 ‘금메달 하나는 은메달 몇 개에 해당하는지’에 대해 질문했어요. 그 결과 행복한 사람들은 평균 2.5개라고 답했지만 행복감이 낮은 사람들은 평균 6개라고 답했어요. 행복감이 낮은 사람들에게 금메달은 은메달로 쉽게 상쇄되기 어려운 ‘대박’이었던 거죠. 이 결과는 행복한 사람은 작은 것도 크게 보지만, 행복감이 낮은 사람은 큰 것만 크게 본다는 점을 시사하기도 해요. 위 질문을 듣고 당신은 은메달 몇 개라고 대답했나요?

💕행복은 강도(intensity)가 아니라 빈도(frequency)다.

행복은 긍정 정서 대 부정 정서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에 달려있다.”라는 제목의 논문이 있어요. 아무리 강한 자극이라도 시간이 지나면 사람들은 그 자극에 적응하기 때문에 그로 인한 행복 혹은 불행은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요. 이처럼 어쩌다 한 번 강한 자극을 경험하는 것보다는 소소한 즐거움이라도 자주 경험하는 것이 행복에 훨씬 유리해요.

작은 것도 귀하게 여길 줄 아는 행복한 사람들의 삶의 기술을 ‘음미하기(savoring)’해요. 음미하기란 소소한 현재의 즐거움을 만끽하는 마음의 습관을 의미해요.

무라카미 하루키의 수필 <강게르한스 섬의 오후>가 유명해지면서 자주 인용되기 시작한 소확행(小確幸, 작지만 확실한 행복)이라는 단어는 이 음미하기의 중요성을 환기시켜줘요. 갓 구운 빵을 손으로 찢어 먹는 것, 서랍 안에 반듯하게 접어 돌돌 만 속옷이 잔뜩 쌓여 있는 것, 겨울밤 부스럭 소리를 내며 이불 속으로 들어오는 고양이의 감촉 등 소소하게 음미할 것들은 우리 일상 곳곳에 숨어있어요.

🎈행복은 가랑비에 옷이 젖는 것!

행복한 사람들은 일상 곳곳에 자신만의 행복 스위치를 켜두고 소소한 즐거움들을 더 자주 경험해요.


📖아침에 잔잔한 음악을 켜두고 책 읽기
☕설탕 한스푼 넣은 달달하고 고소한 에스프레소 한 잔 마시기
⛄길가에 누군가 만들어놓은 눈오리를 보며 미소짓기
📒하루를 마무리하며 짧은 일기를 쓰고 잠자리에 들기


당신만의 행복 스위치를 ON! 해 보세요.
가랑비에 옷이 젖는 것처럼 행복도 그렇게 될 테니까요 ☔️

Share article

굿라이프랩 인사이트 💡